등가회로 이해
포토 다이오드는 기본적으로 일반 다이오드와 동일한 p–n 접합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때 p형 영역이 양극(Anode), n형 영역이 음극(Cathode)에 해당합니다.
보통 포토 다이오드의 패키지에서는 음극 쪽에 띠(밴드) 표시가 되어 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중요 참고사항:
- 포토 다이오드는 종종 역바이어스(Reverse Bias)로 동작시킵니다. 즉, 일반 전압 기준에서는 음극(음의 다이오드 측)을 플러스 전원에, 양극(양의 다이오드 측)을 그라운드(또는 낮은 전압 쪽)에 연결합니다. 이는 접합의 역전압 상태에서 빠른 응답과 낮은 정전용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반대로 광전지(Pyovoltaic) 모드 등에서는 제로바이어스 상태, 즉 다이오드의 자연 방전 전위를 읽어내기도 하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 연결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 양극과 음극의 구성은 변함없이 p형이 양극, n형이 음극입니다.
아래는 간단한 ASCII 다이어그램입니다:
(p형, 양극) + │ [포토 다이오드] │ − (n형, 음극) ← 일반적으로 밴드(띠) 표기로 구분됨
포토 다이오드의 극성을 파악하는 것은 회로 설계에 매우 중요하므로, 부품 데이터시트나 패키지 마킹을 반드시 확인하시길 권장합니다.
혹시 회로 구성이나 역바이어싱, 혹은 다른 광센서와의 비교 등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이야기해 주세요.
https://blog.naver.com/specialist0/221000321494
먼저, 이전 설명과 약간 다른 관점에서 다시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그림의 두 부분—회로 다이어그램 (a)와 V‑i 특성 곡선 (b)—에 대한 재설명입니다.
(a) 회로 다이어그램: 광다이오드의 등가 모델
이 회로는 광다이오드(또는 유사 광센서)의 동작을 모사하는 등가 회로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 광전류원 ((i_p)):
빛이 입사할 때 생성되는 전류를 나타냅니다. 즉, 센서에 빛이 조사되면 이 전류원이 활성화되어 생성된 광전류가 회로에 흐르게 됩니다. - 암전류원 ((i_0) 또는 (i_0(\text{암전류}))):
빛이 없거나 약할 때도 존재하는 미세한 기저 전류(암전류)를 나타냅니다. 이는 다이오드의 고유 특성 때문에 발생합니다. - 접합 캐패시터 ((C_j)):
PN 접합에서 나타나는 정전용량을 모사합니다. 이 용량은 주로 다이오드의 응답 속도나 주파수 특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 저항 ((R)):
회로 내에서 전류 흐름에 대한 부하 역할을 하며, 전압 강하 등을 통해 전체 V‑i 특성을 결정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 회로 모델은 광다이오드가 빛에 반응할 때, 광전류와 암전류가 어떻게 결합되어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만들어내는지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b) V‑i 특성 그래프: 광전지 영역과 광전도 영역
그래프는 세로축에 전압((V)), 가로축에 전류((i))를 두고, 회로의 동작 특성을 곡선으로 나타냅니다. 여기서 두 가지 주요 영역이 구분됩니다.
- 광전지 영역 (Photovoltaic Region):
- 특징:
외부 전압(바이어스)을 거의 인가하지 않아도, 빛에 의해 내부에서 생성된 전위차로 인해 전압이 발생하는 영역입니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와 같은 모드에서 나타나며, 빛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압이 만들어집니다. - 동작:
이 영역에서는 빛이 들어오면 다이오드가 자체적으로 전압을 생성하여 전류를 흐르게 합니다. 이 때문에 “자가 발전”의 특성이 강합니다.
- 특징:
- 광전도 영역 (Photoconductive Region):
- 특징:
외부에서 역 바이어스(reverse bias)를 인가한 상태에서, 빛에 의한 전도도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나는 영역입니다. - 동작:
역 바이어스를 걸어주면 PN 접합의 폭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접합 캐패시턴스가 감소하여 응답 속도와 선형성이 개선됩니다. 빛의 세기가 높아지면 (i_p)가 증가하여 전류가 더 크게 흐르게 되고, 그 결과 V‑i 특성이 변화하게 됩니다.
- 특징:
그래프에 그려진 “광 출력 증감” 화살표는 빛의 세기가 변화함에 따라, 두 영역에서 회로의 전기적 특성이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즉, 빛의 강도가 증가하면 생성되는 광전류가 커지고, 그에 따라 전압 및 전체 V‑i 곡선이 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요약
- 회로 다이어그램 (a):
— 광다이오드의 등가 모델을 나타내며, 빛에 의해 생성되는 광전류((i_p))와 빛이 없더라도 흐르는 암전류((i_0))를 전류원으로 표현합니다.
— PN 접합의 정전용량((C_j))과 회로의 저항((R))이 포함되어 있어, 실제 다이오드의 동적 특성을 반영합니다. - V‑i 특성 그래프 (b):
— 광전지 영역: 외부 바이어스 없이 빛에 의해 자연적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모드.
— 광전도 영역: 외부에서 역 바이어스를 인가한 상태에서, 빛에 따른 전도도 변화로 전류가 크게 변화하는 모드.
— 빛의 세기가 증가하면, 회로의 전기적 응답(전압 및 전류 특징)이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모델과 그래프를 통해 광다이오드나 광센서가 빛에 반응하는 두 가지 주요 작동 모드를 이해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드는 응용 목적(예, 전력 생성 vs. 빠른 반응속도 및 선형 검출)에 따라 선택될 수 있습니다.
혹시 이 설명에서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은 부분이나 추가적인 의문점이 있다면, 새로운 각도에서 더 이야기해볼 수도 있습니다.